티스토리 뷰

내 경쟁업체가 페이스북 광고를 하고 있다면, 게다가 광고가 잘 되는 것 같다면?

그들의 타겟을 참고할 수만 있으면 우리가 직접 테스트하고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어지겠습니다.

이처럼 각 업체의 타겟 값은 외부에 절대 공개하지 않는 대외비인데요.

 

제가 지금 말씀드릴 방법으로 경쟁 업체, 동종 업계의 광고 타겟 값을

훔쳐볼 수가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광고를 시작하면 가장 처음 걱정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타겟입니다.

 

물론 오픈 타게팅이나 어드밴티지 플러스 광고를 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고 이 방법으로 성과도 어느 정도 보고 계신 분들도 있겠지만 메타에서는 나만 광고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남들과 똑같은 광고를 하는 것보다, 내가 더 정확한 타게팅을 할 수 있다면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는 무기가 됩니다.

 

이제 나의 경쟁 업체의 타겟 값들을 몰래 볼 수 있는 방법들을 두 가지 말씀드릴 건데요.

특히 두 번째 방법은 많이 퍼져 나가면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라 이 글을 읽는 분들만 알고 계시면 더 좋겠네요.

 

우선, 첫 번째 방법 부터 빠르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1. 나의 경쟁 업체를 셀랙합니다.

페이스북 광고를 하고 있는 업체여야겠죠?

2. 경쟁 업체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결제 시작 이벤트까지 해줍니다.

결제 시작이란 구매 직전 단계에서 주소와 결제 방법 등을 입력하는 페이지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그냥 사이트 방문만 해도 픽셀에 트레킹이 되지만, 결제 시작까지 하면 페이스북이 나를 구매 의도가 매우 높은 타깃으로 인지하게 됩니다.

3. 이제 한 30분 정도 있다가 나의 인스타그램에 들어가 광고들을 스캔합니다.

나의 경쟁 업체 광고가 떴다면 성공입니다.

4. 그 광고의 우측 점 3개를 눌러서 ‘이 광고가 표시되는 이유’를 눌러봅니다.

여기서 해당 업체가 타게팅 한 나이, 지역을 볼 수 있고 관심사를 설정했다면 아래 보이는 것처럼 ‘광고주의 선택’에서 뜨며 여기서 나의 경쟁자가 어떤 관심사를 설정하였는지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만약 해당 업체가 리타게팅이나 유사 타게팅을 하고 있다면 아래처럼 뜨겠습니다.

 

한 가지 알고 계셔야 할 점은 ‘회원님의 활동’에 나오는 관심사는 Meta 테크놀로지 내 활동은 광고주가 특별히 관심사를 지정하지 않았음에도 관심을 보인 주제가 나오는데 이것은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해당 광고를 어떻게 분류하였는지 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또한 알고리즘이 판단하기에 해당 제품의 타겟을 나타내기에 이것도 타겟으로 참고하면 좋겠죠!

여기까지만 해도 사실 매우 큰 무기가 되고, 유리한 스타트를 할 수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멈추면 마케팅 사장 집단의 꿀팁이 아니죠..

 

자 다음! 두 번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상대방이 UTM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있어야 활용이 가능한데요.

UTM 파라미터란 픽셀이 없이도 내 광고의 행동을 추적할 때 쓰는 툴입니다. 활용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이전 글을 확인해 주시면 되겠고

스마트 스토어, 쿠팡 UTM 활용으로 전환 잡기

 

지금은 이 UTM을 쓰는 업체들의 타겟 값을 보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UTM은 주로 스마트 스토어를 광고할 경우 사용하는데요. 내 경쟁 업체가 UTM을 쓴다면 이렇게 타겟을 확인하세요.

 

1. ‘페이스북 라이브러리’에 경쟁 업체를 검색하여 찾습니다.

페이스북 라이브러리 바로 가기

여기서 경쟁 업체의 광고를 보고 그 URL을 확인합니다.

UTM을 쓰고 있다면 URL 형식에서 티가 나죠?

UTM을 쓰고 있다면 URL nt_source 등 단어가 들어가 있습니다.

UTM을 안 쓰는데 스마트 스토어를 광고하고 있다고 하면 그 업체는 참고할 만한 타게팅을 안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그냥 넘어가버리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실제로 제가 검색해 본 스마트 스토어 활용 업체입니다.

 

url에서 UTM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았는데

이걸 아래 링크 드린 사이트에 붙여 넣으면 이 UTM을 우리가 읽을 수 있게 다시 한글/영어로 디코드 해줍니다.

디코딩 사이트

 

여기를 보면 어떤 타게팅을 했는지 유추할 수 있죠?

간혹 UTM에 어느 타겟에서 전환이 나왔는지 알기 위해 타겟을 써 두시는 분들이 있는데

앞으로 우리도 UTM을 쓸 때는 나만 알아볼 수 있는 내용으로 쓰는 게 좋겠습니다.

남들 역시 나의 타겟을 바로 알아버리면 안 되니까요.

 

 

끝!

 

 

 

 

댓글
문의: mktceogroup@gmail.com